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2025년 중위소득 기준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5년의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, 전년도 대비 6.42% 인상(맞춤형 급여체계 도입 이후 최대 상승폭)되어 4인 가구 기준으로 6,097,773원입니다.

    2025년 중위소득 역대 최고 증가

     

    1. 가구원 수에 따른 월 기준 중위소득

     

    ① 기준 중위소득이란?

     

    기초생활 보장제도 및 각종 복지 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으로 활용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·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가구 소득의 중간값입니다.

     

    기준 중위소득이란?

     

    ② 기준 중위소득 금액표(중위소득 100%)

     
    가구원 수  중위소득 (원)
    1인 2,392,013
    2인 3,932,658
    3인 5,025,353
    4인 6,097,773
    5인 7,108,192
    6인 8,064,805
    7인 8,988,428
    8인 9,912,051
    8인 이상 1인 증가 시마다  923,623원

     

    ③ 기준 중위소득 인상 영향

     

    기준 중위소득의 인상은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 등 다양한 복지 지원의 소득 기준을 높여, 더 많은 가구가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

     

     

    1) 생계급여

    • 선정기준: 기준 중위소득의 32% 이하인 가구가 대상입니다.
    • 변화 내용: 4인 가구 기준으로 2024년 1,833,572원에서 2025년 1,951,287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. 이는 기준 중위소득 인상률과 동일한 6.42%의 상승입니다. 
    • 영향: 선정기준이 높아짐에 따라, 이전에는 소득이 기준을 초과하여 지원을 받지 못했던 일부 가구가 새롭게 생계급여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.

    2) 의료급여

    • 선정기준: 기준 중위소득의 40% 이하인 가구가 대상입니다.
    • 변화 내용: 4인 가구 기준으로 2024년 2,291,965원에서 2025년 2,439,109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.
    • 영향: 소득 기준이 상향됨에 따라, 더 많은 가구가 의료급여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. 또한, 본인부담 체계가 정률제로 개편되어 진료비에 비례한 본인부담금을 지불하게 되며, 건강생활유지비가 월 6,000원에서 12,000원으로 인상되어 수급자의 부담을 완화합니다.

    3) 주거급여

    • 선정기준: 기준 중위소득의 48% 이하인 가구가 대상입니다.
    • 변화 내용: 4인 가구 기준으로 2024년 2,750,358원에서 2025년 2,926,931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.
    • 영향: 임차가구의 경우, 급지와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임대료가 1.1만 원에서 2.4만 원까지 인상되어 더 많은 임차료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자가가구의 경우, 주택 수선비용이 29% 인상되어 주택 개보수에 대한 지원이 강화됩니다.

    4) 교육급여

    • 선정기준: 기준 중위소득의 50% 이하인 가구가 대상입니다.
    • 변화 내용: 4인 가구 기준으로 2024년 2,864,957원에서 2025년 3,048,887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. 
    • 영향: 교육활동지원비가 초등학생은 487,000원, 중학생은 679,000원, 고등학생은 768,000원으로 각각 인상되어 학생들의 교육 관련 지출 부담이 줄어듭니다.

     

    2. 중위소득 % 계산하기

     

     

    복지급여 산정 시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생계급여는 32%, 의료급여는 40%이하 주거급여 48% 이하, 교육급여 50% 이하, 기저귀 바우처 80% 이하 등 다양한 기준이 적용됩니다.

     

    ① 계산방법

    •  기준 중위소득 기준에 원하는 %를 곱해서 산정하게 됩니다.
    •  예를 들어 5인 가족 주거급여 48% 이하에 해당하는지 계산해보고자 한다면, 기준금액 7,108,192원(5인) x 48% = 3,411,932원으로 계산이 됩니다.
    • 이 금액 이하라면 주거급여 48% 이하에 해당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② 중위소득 계산기

    • 기준 중위소득 기준에 원하는 %를 곱해서 산정하게 됩니다.
    • 중위소득 %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를 만들어 첨부해뒀으니 필요시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중위소득 계산기 엑셀 다운받기 (32% 40% 50% 80% 120% 150% 등)

    기준 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 및 지원 제도의 수급 자격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됩니다. 기저귀 바우처와 같이 기준 중위소득의 80%를 적용하는 사례 외에도, 다양한 사업에서 이 지표를

    rd2.rindanhappy.com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